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“이런 게 신고 대상이라고?” 공익신고하면 최대 수억 원 보상금!

by 시니어친구 2025. 5. 1.

공익신고로 보상금도 받고, 정의도 지키세요!

시민이 지켜낸 88억 원, 나도 신고할 수 있을까?

2024년 3분기, 부패·공익신고를 통해 약 88억 원의 공공재정이 회복되고,
78명의 신고자에게 약 10억 원의 보상금이 지급되었습니다.

그중에는 평범한 시민, 직장인, 공무원 등
우리 주변에서 부정행위를 눈치챈 사람들이 많았습니다.

이 글에서는 공익신고로 어떤 일이 보상 대상이 되는지,
그리고 실제로 어떤 사례들이 보상금으로 이어졌는지
쉽고 현실적으로 설명드릴게요.


공익신고란 무엇인가요?

공익신고는 말 그대로 공공의 이익을 침해하는 행위를 신고하는 것입니다.
국민의 세금이 부정하게 쓰이거나, 법령을 위반한 행위를 알게 되셨다면
누구나 할 수 있는 일입니다.

공익신고는 「공익신고자 보호법」에 따라 철저히 보호되며,
신고자의 신원은 비공개되고 불이익으로부터 법적 보호를 받습니다.


어떤 분야가 가장 많이 신고되었나요?

2024년 3분기 보상금 지급 기준으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:

▶ 신고 건수가 가장 많은 분야

  • 복지: 28건 (36%)
  • 고용: 17건 (22%)
  • 연구개발: 10건 (13%)
  • 산업: 9건 (12%)
  • 의료: 4건 (5%)
  • 기타: 9건 (12%)

▶ 보상금이 가장 많이 지급된 분야

  • 연구개발: 3.8억 원 (37%)
  • 고용: 2.4억 원 (23%)
  • 의료: 1.55억 원 (15%)
  • 복지: 1.3억 원 (13%)
  • 산업: 0.96억 원 (9%)
  • 기타: 0.3억 원 (3%)

생활 속 이런 사례, 다 신고 대상입니다!

💼 고용지원금 부정수급

  • 근무하지도 않은 사람을 허위로 등록해 일자리 지원금을 받는 경우
  • 휴직 중인 직원에게 근무를 지시하고 고용유지지원금을 수급한 경우

👩‍🔬 연구개발비 부정청구

  • 이미 개발된 제품을 ‘신규 연구’로 둔갑시켜 예산을 부당수령
  • 인건비를 부풀려 인력비용을 과다계상

🧸 복지급여 부정수급

  • 허위 교사 등록으로 어린이집 보조금 수급
  • 사실혼인데도 단독세대로 속여 기초생활보장급여, 한부모가족지원금 수급

🏥 의료기관 부당청구

  • 불법 사무장 병원을 개설하거나
  • 진료기록부를 허위로 작성해 요양급여를 청구한 경우

→ 이런 일들, 우리 주변에서 충분히 목격될 수 있습니다.


신고하면 정말 보상금을 받을 수 있나요?

예, 받을 수 있습니다.

국민권익위원회는 실질적인 공익 회복에 기여한 신고자에게 보상금을 지급합니다.

  • 2024년 3분기 평균 보상금은 약 1,300만 원
  • 최고 보상금은 수억 원대에 달하기도 했습니다.

👉 단순 민원과는 다르며, 신고 내용이 구체적이고 사실일 경우
보상 심사를 거쳐 지급됩니다.


신고는 어떻게 하나요?

신고 방법은 간단합니다:

📞 전화: 국번 없이 1398 또는 110
💻 온라인: 국민권익위원회 홈페이지 또는 국민신문고
📮 우편/방문: 국민권익위원회 공익신고센터

익명 신고도 가능하며,
신고자의 신분은 철저히 보호됩니다.
불이익이 발생하면 보호조치도 가능합니다.


마무리하며: 신고는 '시민의 용기'로부터 시작됩니다

"누군가는 알았지만, 아무도 말하지 않았다"
이런 말이 나오지 않도록,
당신의 한 번의 신고가 88억 원의 정의를 실현할 수 있습니다.

공익신고는 단순한 제보를 넘어
우리 사회의 정의와 투명성을 지키는 시민의 참여입니다.
지금 이 순간에도 누군가의 용기가 세상을 바꾸고 있습니다.


📌 공익신고 상담 바로가기
✔ 전화: 1398 / 110
✔ 검색: 국민권익위원회 공익신고센터